인수분해
마음의 방정식
Factorize
The Equation of the Heart
김기동
2025.
5. 23. (금)~ 6. 1. (일)
작가와의 대화 5. 24. (토) 오후3시
갤러리 공간ZERO
보이지 않는 존재를 응시하는 회화,
이것은 기도입니다.
나의 그림들은 ‘응시’에서 시작합니다.
소리 없는 대화이자, 삶으로 드리는 기도입니다.
나는 보이는 것을 그리지 않습니다.
삶을, 기억을, 타인의 얼굴을 통해
보이지 않는 그 분을 향해 묵묵히, 그러나 분명히
말합니다.
“제가 여기에 있습니다, 아버지.”
그 고백은 회화가 기도가 되는 지점이며,
존재가 다시 자리 잡는 순간입니다.
데포르마시옹의 얼굴, 꼬끼오, 픽토그램의 흔적,
들빛, 자전거를 타고 지나는 아이의 실루엣—
모두가 응답을 기다리는 시선들 입니다.
나의 회화는 말씀이 나무가 되어 서 있는 자리,
그 앞을 조용히 지나가는 자의 기도입니다.
「見えない存在を見つめる絵画、それは祈りです。」
私の絵は「見つめること」から始まります。
音のない対話であり、
生きることそのものを通じて捧げる祈りです。
私は目に見えるものを描いているのではありません。
人生を、記憶を、他者の顔を通して、
見えない“あの方”に向かって
黙々と、しかし確かに語りかけています。
「私はここにいます、父よ。」
その告白は、絵画が祈りとなる瞬間であり、
存在がもう一度居場所を得る瞬間なのです。
デフォルメされた顔、鶏の鳴き声、ピクトグラムの痕跡、野に咲く花の影、自転車に乗って通り過ぎる子どものシルエット——
すべてが応答を待つまなざしです。
私の絵画は、
御言葉が木となって立つ場所であり、
その前を静かに通り過ぎる者の祈りなのです。
“Ang sining ng pagtingin sa hindi nakikita—ito ang
dasal.”
Nagsisimula ang aking mga obra sa pagtingin.
Isang tahimik na pag-uusap, isang dasal na iniaalay sa buhay.
Hindi ko nilalarawan ang nakikita.
Sa pamamagitan ng buhay, alaala, at mukha ng iba, ako ay tahimik na nakikipag-usap—ngunit malinaw—sa Hindi Nakikita.
“Narito ako, Ama.”
Sa pagtatapat na ito, nagiging dasal ang pagpipinta, at hinahanap ang lugar
Ang kakaibang mukha, Kokkio, ang mga bakas ng simbolo, ang liwanag ng kalangitan, ang anino ng batang sumasakay sa bisikleta—ang mga ito ay mga tingin na naghihintay ng tugon.
Ang aking sining ay isang dasal ng isang taong tahimik na lumalampas sa punong pinag-ugatan ng Salita.
“Malerei, die das Unsichtbare betrachtet – das ist Gebet.“
Meine Bilder beginnen mit dem Anschauen.
Es ist ein lautloser Dialog,
ein Gebet, das durch das Leben dargebracht wird.
Ich male nicht das Sichtbare.
Durch das Leben, die Erinnerung, das Gesicht des Anderen
spreche ich still, aber deutlich
zu Dem, der nicht zu sehen ist.
„Hier bin ich, Vater.“
Dieses Bekenntnis ist der Moment,
in dem Malerei zum Gebet wird
und das Dasein seinen Ort wiederfindet.
Die deformierten Gesichter,
der Hahnenschrei (Kikeriki),
die Spuren von Piktogrammen, das Feldlicht,
die Silhouette eines Kindes auf dem Fahrrad –
sie alle sind Blicke, die auf Antwort warten.
Meine Malerei ist ein Gebet
desjenigen, der leise an einem Baum vorbeigeht,
der aus dem Wort gewachsen ist.
“Painting that gazes upon the unseen—this is prayer.”
My paintings begin with gaze.
A silent dialogue,
a prayer offered through the very act of living.
I do not paint what is visible.
Through life, memory, and the face of the other,
I speak quietly—yet clearly—
toward the One who remains unseen.
“Here I am, Father.”
This confession is the moment
where painting becomes prayer,
and being finds its place once again.
The déformation of face, Kokkio, the traces of pictogram, the field light,
the silhouette of a child riding a bicycle—
These are gazes waiting for a responses.
My painting is a prayer of one who is passing quietly the tree grown of the Word.
Profile
김기동
HOPE Kim
기억과 관계를 중심으로 회화적 언어를 구축해 온 작가입니다. 존재의 본질에 대한 묵상과
응시를 작품에 담아오고
있습니다.
· 개인전_《인수분해》:마음의 방정식
(갤러리공간제로 2025)외, 15회
· 단체전_2024한.중.일 아트코스모스현대미술
교류전(후쿠오카아시아미술관,일본)외,250여회
· 수 상_대통령직속국가균형발전 지역혁신가상
수상(2020), 강원도문화예술진흥발전 표창
(2019)
· 전시기획_원주아트갤러리 개관기념전“
도시하루 여행”(2023) 외, 다수
· 공공문화예술기획
- 원주아트마켓 문화기획
(행구동 수변공원,2023)
- 2023문화도시 거점공간 공간기획 운영
“오늘의 쉼표”(원주 아트갤러리,2023)
- '문화여행명소 철암아트비트 프로그램'
『515삼방동』기획 및 총감독(2022)
- “빛으로 여는 땅, 철암”_총기획 및 운영
(소도.철암,2014~2021)
- “흐르는 땅, 태백” 레지던스 운영
(2012~2020)
- 블렉마켓 문화기획 (태백철암,
2019~2022)
- 2019 문화적도시재생 ‘역사문화장터
만들기’총감독(문체부)
· 제24대사단법인한국미술협회 강원도지회장
(2017~2021)
· 철암탄광역사촌 관장
(2014.2.14.~2021.12.31.)
· 작품소장처_아산병원(강릉),쏠비치리조트(삼척),
바기오시티컨벤션홀(필리핀),오투리조트(태백),
태백석탄박물관, 철암탄광역사촌(태백) 외 다수
· 현)전업작가, 사단법인 아트인강원 이사장
· 이메일 :
freedl@naver.com
전시장 오시는 길
지도를 누르면 네이버 맵이 열립니다.
공간ZERO
강원도 춘천시 동면 공단로 104 1층
당신 작품전도
이렇게 멋진 모바일리플렛으로
친구들에게 알리고 싶으신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