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무인71 산업의 NEW스펙트럼 상업용드론 시장을개척하라

 

비행기가 소형화, 무인화되면서 항공기 산업은 새로운 국면으로 접어들었다. 국내에서도 드른 산업과 무인 이동체 개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2018년 5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발표한 '13대 혁신성장둥력 시행계획을 살펴보면 드론 산업분야에 항후 5년간4,550억 원을 투자해 시장규모를 키우고 일자리와 부가가치를 창출할 계획을 드러냈다. 드론 산업의 발전 기반은 다져진 상태, 아직 태둥 단계인 국내 드론 기업들의 비상이 궁금하다.
새로운 시대에 달라지는 하늘길 1916년 군사용 드론이 최초로 개발됐다. 드론은 다양한 산업과 과학기술로 발전해 개인 취미용으로 사용할 만큼 보편화되고 있다. 현재 군수용 드론 산업은 미국과 이스라엘이 중심이 되고, 취미용 드론 산업은 중국이 강세를 보이고 있다. 이미 형성도|어 있는 군수용 드론 산업은 진입 장벽이 높아 개개의 기업이 시장을 개척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하지만 아직 미개척 단계이뎌 유망산업으로 떠오르고 있는 상업용 드론 시장은 다르다. 기술개발 정도와 무인기 활용도 증가에 따라 시장성징 속도가 결정되는 상업용 드론 시징은 현재 촬영과 감시. 취미용 등으로 활용 중이다. 그리고 급속도로 사업영역이 확장되고 있는 정밑 농임업 분야와 토목건축. 재난대응 및 안전 분야에 드론이 활용될 전망이고, 최종적으로는 택배와 배송, 통신인프라와 개인운송 분야에까지 나아갈것이다. 이렇게 미래 비전을 담보하고 있는 드론 산업에 많은 기업이 뛰어드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일일 것이다. 특히 우리나라는 농어촌 인구감소 및 고령화로 농어업 분야의 무인기 활용수요가 높고, 3면이 바다이며 70%가 산지로 둘러 싸여 있기 때문에 드론을 사용한 공공 서비스 수요가 존재한다. 따라서 국내 수요 특성만으로도 시장 창출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01 를 기반으로 해외 시장을 선점하는 전락을 세울 수 있다.
순돌이드론론 'Q-1' 도약을 준비 증인 국내 드론 업계 드론은 항공, 소프트웨어, 통신, 센서, 소재 등 다앙한 산업군과 연관되어 있다. 단순한 기술 수준뿐만 아니라 다양한 산업의 스펙트럼 안에서 서로 융 · 복합의 과정을 거쳐야 왼성된다. 따라서 기술개발에 발맞춰 규제완화, 경제성 확보 등을 통해 응용 분야를 순차적으로 확대해 나가는노력이 필요하다. 우리냐라의 무인기 산업은 완제품을 중심으로 세계 7위의 기술력을 확보하고 있다(국방기술품질원, 2015). 기술 수준은 미국. 프랑스, 영국. 독일과 함께 1 진영으로 평가받고 있지만 실제 무인기를 제작해 상용화하는 부품 수준은 기술 수준에 미치지 못한다. 국내 시장규모가 영세하고 기술개발과 산업화가 부진한 결과인데, 다행히도 기술수준이 높다 보니 핵심부품 기술역량은 보유하고 있다. 특히 대기업과 출연연 · 대학을 중심으로 중대형 무인기 분야의 선진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는데, 유망산업인 상업용 무인기 분야에서는 중소 · 영세 벤처기업을 중심으로 개발이 이뤄지고 있고 기업의 수도 산업의 발전을 두IC벼를 만큼 많지 않다. 하지만 엠씨넥스, 퍼스넥, 휴니드, 제이씨현시스템 등 국내 드론 산업의 강자들이 나타나 코스닥, 코스피 등에 상장되어 활발한 기업 활동을 펼치고 있다.
바이로봇 타이트드론(레이싱드론)’
또한 바이로봇 순돌이드론 등의 벤처기업에서는 비행산업 헌장경력의 엔지니어와 박사 등 각계 분야의 젊은 전문가들이 모여 국내 기술로 만든 드론을 제작하고 있다. 인간과 로봇의 공존을 모토로 비행로봇 분야을 선도하고 있는 바이로봇은 국내 최초로 가솔린 엔진을 탑재한 덕티드 팬(ducted―fan) 타입 비행로봇의 자율비행 시스템 개발에 성공했다. 또한 국산 농업용 드론의 선두주자인 순돌이드론은 ‘뜰똘이 순돌이’라는 타01 틀을 얻으며 농업용 드론 순들이 1세대부터 5세대까지 개발했고, 교육용 드론 369 에디션을 내어놓는 등 국내 드론 산업의 영역을 확장시켜 나가는 중소 벤처기업이다. 앞으로 드론 산업은 에너지 시설 관리, 토목 건설 관리, 농약방제, 산사태 · 산불감사 실종자 수색 등 공공 분야의 수요와 맞물려 급성장 할 전망이다. 실제로 2이8년 1월 한국드론산업진홍회가 조사한 바에 따르면 국내 정부부처 · 공공기관 · 지방자치단체 등 77곳이 드론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이 중 44종이 중국산이였다. 따라서 상업용 드론 시장을 정확히 분석하고 시장을 선도할 수 있는 고기능 무인기를 개발해야 한다. 고리고 이렇게 무인기 기술이 정착되면 항후 잠재력01 큰 미래 기반기술 분야도 개척해 나갈수있을것이다.
<